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

생강 차 효능 9가지, 겨울에 좋은 생강 차 만들기 ◈생강차 효능 9가지, 겨울에 좋은 생강차 만들기 ▶생강 *생강(생강과) 생약명: 생강 *약성은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폐. 비장. 위 경에 작용한다. *생강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은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진저롤과 쇼가올이 대표적이다 *여러해살이풀.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농가에서 재배하고 키 30~50cm 자란다. 뿌리줄기는 노란색 덩어리 모양이고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잎집이 된다. 꽃은 8~9월에 담황색으로 핀다. 뿌리줄기를 식용하고 약재로도 쓴다. *생강 꽃은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한국에서는 (고려사)에 있는 생.. 2022. 12. 19.
계절에 따른 음양의 균형, 오장육부, 오행식품[목 화 토 금 수] ◈계절에 따른 음양의 균형, 오장육부, 오행 식품[목 화 토 금 수] *계절에 따른 음과 양의 상승과 하강에 대해 알아보고 오행에 맞는 식재료는 어떻게 좋은지 궁금증을 알아보았다. >>봄: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로 양기가 증가하고 몸의 기운 상승하는 시기이다. 단맛과 향기로운 맛을 늘리고 신맛은 줄인다. >>여름: 양기가 최고에 이르는 시기로 적당한 운동으로 양기 발산하는 것이 좋다. 상승한 양기로 인해 심장의 열이 더해질 수 있는 시기이다. 매운맛은 늘리고 쓴맛은 줄인다. >>가을: 만물이 결실을 맺는 시기로 몸의 양기를 수렴하는 시기이다. 지나친 양기 발산은 폐를 손상시킨다. 신맛은 늘리고 매운맛은 줄인다. >>겨울: 만물이 잠자는 시기로 몸의 기운을 많이 발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무리하면 신장의 손.. 2022. 12. 17.
[음식궁합]음식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거 아세요? ◈[음식궁합] 음식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거 아세요? *식재료에는 찬성질과 따뜻한 성질이 있다. 한국의 전통음식이 우리 몸의 음양을 조절하여 몸의 밸런스를 조절해준다. ▶음식의 음양오행 음양오행이란 동양의 고대 및 중세의 철학 사조의 하나로써, 이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모든 사물의 현상은 서로 대립되고 상반되는 속성을 가진 음陰과 양陽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전통적 음식 문화 속에는 음양오행 사상이 짙게 깔려 있다. 또한 이 두 종류의 기氣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우주의 기초를 이루는 다섯 가지 물질, 즉 목(木, 나무), 화(火, 불), 토(土, 흙), 금(金, 쇠), 수(水, 물)가 생기고, 그것들이 조화를 이루어 천지 만물이 생겨난다. ▶음양의 성질 음의 성질/ 명암, 물질, 정지, 기능이 .. 2022. 12. 16.
[사상체질]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태양인 체질별 변비개선 방법 ◈[사상체질]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태양인 체질별 변비개선방법 *변비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사상체질에 따른 나에게 맞는 변비 개선 식재료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변비는 원인 1. 장연동 운동이 너무 강해서 경련을 일으켜 일어나는 경련성 변비 2. 생활의 변화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오는 일과성 단순 변비 3. 자궁근종, 난소종양 및 복부의 어떤 응어리 등이 장관을 압박하여 오는 변비 4. 자궁질환, 또는 복부질환의 수술 후 장관 유착으로 대변의 통과 장해로 오는 변비 등의 원인은 다양하므로 변비의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이다. 5. 변의를 느껴야 할 신경이 둔해져서 일어나는 직장성 변비 ▶변비로 인한 나쁜 증상 1. 복통이나 복부 팽만 혹은 메스꺼움 등이 나타난다. 2. 독소가 장 .. 2022. 12. 16.
사계절 호흡기 질환; 리노바이러스와 감기, 예방식단 ◈사계절 호흡기 질환; 리노바이러스와 감기, 예방 식단 ▶감기 원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기는 코와 목 부분이 포함된 상부 호흡기계의 감염증으로서 사람에게 나타나는 가장 흔한 급성 질환 중하나이다. 200여 종여종 이상의 서로 다른 바이러스가 감기를 일으키는데, 그중 30~50%가 리노바이러스이고 10~15%는 코로나 바이러스이다. 회복된 후에는 면역이 생기지만 예방 효과가 강하지 않아 오래 지속되지 않고, 서로 다른 병원체가 존재하므로 재 감염될 수 있다. 잠복기는 보통1~3일이다. ▶리노바이러스 질병코드 J02.8 & B97.8, J03.8 & B97.8, J12.88 & B97.8, J20.6, J21.88 & B97.8 이다. 감기의 주된 병인이기도 한 리노바이러스는 영어로 Rhinov.. 2022. 12. 13.
내장 지방 위험 신호; 복부 비만, 뱃살 다이어트 ◈내장 지방 위험 신호; 복부 비만, 뱃살 다이어트 ▶복부비만이란? 영어로 (abdominal obesity, belly fat, central obesity)라 부르며, 우리나라 말로 복부비만(腹部肥滿)이라고 부른다 허리 크기를 증대시키는, 지방 조직의 축적 현상이다. 내장비만은 복강 안쪽 내장 사이를 커튼 모양으로 연결하고 잇는 장간막(그물막)에 내장지방이 많이 쌓인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내장지방을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어느 날 갑자기 심뇌혈관 질환으로 급상 즉 사망에도 이를 수가 있게 된다. 허리둘레가 여성의 경우 85cm 이상, 남자 90cm이면 복부 비만으로 판단한다. 유독 살이 복부에 집중되는 이유는 배가 신체 중에서 가장 여유 공간이 많기 때문이다. 한 번 살이 찌면 내 몸이 거기에 적응이 .. 2022.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