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가락 통증을 위한 자가 치료법: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

 

▶손가락 마디 관절 통증 원인

 

 손가락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별로 날카롭고 찌르는 것부터 둔한 아픔, 통증의 위치, 그리고 그것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활동에 따라 그 원인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일반적인 원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관절염(Arthritis): 손가락 관절에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손가락의 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2. 염좌나 손상(Sprains or Injuries): 넘어지거나 손가락을 쳤을 때 발생하는 손상은 인대나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반복 스트레스 부상(Repetitive Stress Injury, RSI): 반복적인 작업이나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반복적인 부상도 손가락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건염(Tendonitis): 건이나 인대의 염증으로 인해 손가락이나 손목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통풍(Gout): 손가락 관절에서 요산 결정이 축적되어 염증과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감염(Infections): 손가락이나 손의 다른 부위에 감염이 발생하면 부어오르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신경 압박(Nerve Compression): 예를 들어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신경 압박 상태는 손과 손가락에 통증, 저림, 또는 타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8. 낭종 또는 종양(Cysts or Tumors): 갱글리온 낭종과 같은 양성 종양은 불편함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통증을 평가할 때 중요한 것은 통증의 정확한 위치, 통증의 유형(예: 찌르는 듯한, 둔한, 쑤시는 등), 그리고 동반 증상(예: 붓기, 발적, 열감, 움직임 제한)입니다. 통증이 갑자기 시작되었는지, 점진적으로 나빠졌는지, 특정 활동 후에 발생하는지 여부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만약 손가락 통증이 있으면 가장 좋은 방법은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입니다. 의사는 병력을 듣고, 신체 검사를 하고, 필요하다면 혈액 검사, X-레이 또는 MRI와 같은 영상 진단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 방법을 제안할 것입니다.

 

그러나 심각한 증상이나 심한 통증, 감염의 징후(예: 열, 빠른 부기 증가, 발적), 손가락에 감염이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열감 또는 열: 감염 부위가 뜨거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발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심한 부기: 감염된 부위가 빠르게 부을 수 있습니다.
  - 발적: 감염 부위 주변이 빨갛게 변할 수 있습니다.
  - 통증: 감염 부위가 매우 아프고, 종종 통증이 심할 수 있습니다.
  - 기능의 손실: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사용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 고름 또는 기타 분비물: 감염된 부위에서 고름이나 이상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불쾌감 또는 피로: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감염은 심각한 의학적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 중 하나 이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 조치가 필요합니다. 항생제 치료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적 개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감염은 빠른 대응이 중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글↓

2022.10.14 - [건강&행복] - 손목터널증후군 증상과 자가진단법 VS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방법

 

손목터널증후군 증상과 자가진단법 VS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방법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과 자가진단법 VS 손목터널 증후군 예방 방법 *과중한 일과 컴퓨터 마우스등 직업병이라고 할 수 있는 손목터널 증후군에 대해 발병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과 예방방법까지

2t.saraj1.com

 

▶손가락 마디 관절 통증 증상


1. 통증: 관절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겼을 때, 통증은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통증은 지속적일 수도 있고, 활동할 때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2. 부기: 관절 부위가 붓는 것은 염증의 일반적인 징후입니다.

3. 발적: 관절 주위의 피부가 붉어질 수 있습니다.

4. 열감: 염증이 있는 관절은 만졌을 때 따뜻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5. 강직: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관절이 뻣뻣하고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입니다.

6. 기능 장애: 손가락의 관절염은 손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일상적인 활동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7. 변형: 심한 관절염,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관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손가락이 자연스러운 위치에서 벗어나 보이는 현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전신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피로감, 체중 감소,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손가락 마디 통증

 

▶손가락 마디 관절 통증 예방 

 

1. 적절한 자세 유지: 컴퓨터 작업을 할 때 올바른 타이핑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목을 과도하게 꺾지 않고, 손목 받침대를 사용하여 손목이 자연스러운 위치에 있도록 합니다.

2. 규칙적인 휴식: 긴 시간 동안 같은 작업을 반복하지 말고, 일정 시간마다 손가락과 손목을 펴고 스트레칭하는 휴식 시간을 갖습니다.

3. 손가락 운동: 손가락과 손목의 유연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한 운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손가락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은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4. 스트레스 감소: 스트레스 공을 짜거나 소프트볼을 누르는 것처럼 손을 사용하는 스트레스 완화 기술을 사용하여 손의 긴장을 줄입니다.

5. 온도에 주의: 추운 환경에서는 손가락이 뻣뻣해지고 통증이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므로,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영양 섭취: 건강한 식습관을 갖고, 충분한 칼슘과 비타민 D를 섭취하여 뼈 건강을 돕습니다.

7. 건강 체중 유지: 적정 체중을 유지함으로써 손가락을 포함한 모든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8. 안전 장비 사용: 손가락을 다칠 수 있는 활동이나 스포츠를 할 때는 적절한 보호 장비를 사용합니다.

9. 직업적 조언: 직업상 많은 수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작업 방법이나 조직에 관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합니다.

10. 금연: 흡연은 혈액 순환을 저해하고, 특히 류머티즘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관절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11. 만성 질환 관리: 당뇨병이나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질환은 손가락 관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손가락 통증의 예방은 전반적인 건강한 생활 습관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손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진단 

 

손가락 통증 자가 진단
1 , 손 또는 손목에 부딪히거나 비틀거나 넘어졌습니까? 아니요
2 환부가 기형이거나 부어 있습니까?    
3 , , 손목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나요?    
4 반복적인 움직임(: 일하거나 스포츠를 할 때)으로 통증이 악화됩니까?    
5 문 손잡이를 잡는 것이 아프고, 통증이 팔꿈치 바깥쪽에서 시작되어 팔을 따라 손목으로 이동합니까?    
6 손가락, , 손목 또는 팔, 특히 손목을 국부릴 때(, 손바닥을 팔뚝 쪽으로 구부릴 때) 저림이나 통증이 있습니까?    
7 손목이나 손가락 관절 근처에 딱딱한 덩어리나 부기가 있습니까?    
8 베인 상처나 상처 주위의 피부가 빨갛거나 붓거나 아프거나 팔이나 손 어딘가에 붉은 줄무늬가 있습니까?    
9 하나 이상의 관절이 부어오르고 압통이 있습니까? 열이 나시나요?    
10 엄지 손가락이 잡거나, 타이핑하거나, 연필이나 펜으로 글씨를 쓸 때 아프십니까?    

 

10가지중 5가지 이상이면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증상 검사기: 손, 손목, 팔 문제 - familydoctor.org 자가진단 평가를 알 수 있어요!

 

 

▶손가락 운동. 스트레칭

 

다음은 손가락 스트레칭 운동입니다. 이 운동은 손과 손가락을 강화하고 움직임의 범위를 늘리며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주먹 스트레칭: 엄지손가락을 다른 손가락 위에 올려서 주먹을 쥐세요. 30~60초 동안 유지한 후 손가락을 펴세요. 양손에 대해 최소 4번 반복하세요.

2. 손가락 스트레칭: 손바닥을 탁자나 평면에 대고 손가락을 부드럽게 펴세요. 관절을 강제로 움직이지 않도록 평면에 최대한 평평하게 펴세요. 양손에 대해 최소 4번 반복하세요.

3. 발톱 스트레칭: 손바닥을 당신을 향하도록 내밀어주세요. 손가락 끝을 각 손가락의 기저부에 닿도록 굽혀주세요. 손은 조금 꼬여있는 모양이 됩니다. 30~60초 동안 유지한 후 펴세요. 양손에 대해 최소 4번 반복하세요.

4. 그립 강화: 부드러운 공을 손바닥에 쥐고 최대한 꽉 쥐세요. 몇 초 동안 유지한 후 놓으세요. 양손에 대해 10~15번 반복하세요. 이 운동은 일주일에 2~3번, 운동 사이에 손을 쉬게 해 주세요. 엄지관절이 손상된 경우 이 운동을 하지 마세요.

5. 핀치 강화: 손가락 끝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부드러운 폼 공이나 퍼티를 끼우세요. 30~60초 동안 유지하세요. 양손에 대해 10~15번 반복하세요. 이 운동은 일주일에 2~3번, 운동 사이에 손을 쉬게 해 주세요. 엄지관절이 손상된 경우 이 운동을 하지 마세요.

6. 손가락 들기: 손바닥을 탁자나 다른 평면에 눕히세요. 손가락을 하나씩 탁자에서 들어올리고 다시 내려주세요. 모든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동시에 들어 올리고 다시 내려도 됩니다. 양손에 대해 8~12번 반복하세요.

7. 엄지손가락 연장: 손바닥을 탁자에 눕히세요. 손가락 관절의 기저부에 고무줄을 감아주세요. 엄지손가락을 최대한 멀리 움직여주세요. 30~60초 동안 유지한 후 풀어주세요. 양손에 대해 10~15번 반복하세요. 이 운동은 일주일에 2~3번, 운동 사이에 손을 쉬게 해 주세요.

스트레칭은 긴장감을 느낄 때까지만 하세요. 아픔을 느끼지 마세요¹. 만약 어떤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하지 않습니다.

 

출처: 17가지 손과 손가락 강화 운동 - eMediHealth

 

 

17 Hand and Finger Strengthening Exercises - eMediHealth

Here, we outline several step-by-step exercises to increase the strength, flexibility and overall function of your hands and fingers.

www.emedihealth.com


*손가락 마디가 아프거나 통증이 있을 때 대처하는 방법은 손을 많이 사용하거나 무리한활동으로 인해 통증의 원인과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이 최선입니다. 만약 통증이 심하거나 부어오르면 즉시 의사와 상의하여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자가 진단법;손목통증 스트레칭 예방법

목차: 손목 터널 증후군이란?/  증상/ 원인/ 자가진단법/ 치료/ 스트레칭 예방 법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손목터널 증후군 또는 손목굴 증후군, 수근관증후군이라고 한다.

손목 한가운데의 빈 공간(수근관, 손목터널) 중앙을 통과하는 정중신경(正中神經; median nerve)의 압박으로 인해서 장기적인 손 저림, 무감각, 통증이 일어나거나 심할 경우 엄지 등이 마비되어 잘 움직여지지 않는 증상 등을 보인다. 악력이 약해지고 엄지손가락 밑 부분 근육의 쇠퇴가 시작될 수 있다.

 

대게는 점진적으로 야간에 시작하며 통증은 팔로 번질 수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5배 정도 많이 발병하며 발병 시기는 30~60세 사이이다. 최근에 컴퓨터를 다루는 전문직이 많이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손목터널증상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

 

증상

-통증을 가져오고 때로는 마비를 유발한다.

-갑자기 손목에 힘이 빠져 병뚜껑을 열 때 돌리기가 힘들다.

-손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나, 증상이 지속되면서 엄지두덩 근육이 위축되어 손목 관절을 장시간 굽히거나 편 상태로 유지할 경우 통증과 감각장애가 심해진다.

- 손을 꽉 쥐려고 하면 손이 무감각해지고 때때로 타는 듯한 통증을 느낀다.

-물건을 잡을 때 힘이 풀려 떨어 뜨리기도 하며, 증세가 심해지면 손의 감각이 무감각 해진다.

-손으로 하는 정교한 동작을 하기 어려워진다.

 

원인

 -손목이 꺾이는 등 특정한 동작을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부정 유합된 원위 요골 골절, 감염이나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당뇨병, 임신이 있고 수근관 내부의 해부학적인 변화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복적인 가사노동으로 인한 손목에 무리를 주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손목 부위의 골절이나 탈구로 수근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할 수 있다.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손목 사용으로 지나친 부담을 주거나 하루종일키보드와 마우스를 붙들고 있는 사무직 종사자나 프로게이머, 프로그래머 혹은 가위 등을 사용하는 미용사 등의 발병이 많다.(적절하지 않은 높이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놓고 쓰는 것이 주원인으로 추정)

 

-통풍으로 활액막염을 초래하는 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한 경우, 당뇨병 환자들도 많이 걸리는데 이 경우는 물리적인 이유 때문은 아니고 고혈당 상태로 인해 염증이 없어지지 않는 것이 원인이다.

 -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결핵으로 인한 부종, 아밀로이드증과 같은 이유로 생긴 외부의 정중신경 압박, 또는 드물지만 수근관 내부에 생긴 종양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가 진단법

 -팔렌검사(Phalen test): 양 손목을 구부리고 양쪽 손목을 서로 등을 부딪치게 만든 다음초~ 1분 정도 기다려본 다음 저림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되면 손목터널 증후군의 가능성이 높다.

 

-전완 압박 검사(Forearm compression test); 손목 부위나 수근관 부위에서 직접 정중신경 부위를 30초 정도 압박하여 이상 감각의 여부를 관찰하여 저림 현상이 심해지는 증상을 보인다.

 

-터널증후(Tinel sign): 손바닥 쪽 손목주름(wrist crease)을 손가락으로 두드릴 시, 정중신경의 경로에 따라 찌릿찌릿하고 마비가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한다.

 

진단 검사 :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임상적 소견으로 내린다. 관절 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X- Ray검사를 한다.

 

치료

-기본적으로 기본은 손의 활동량을 줄여야 한다.

-보조기, 약물치료, 소염제 처방이 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시행한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다른 보존적인 치료보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인데 보통 스테로이드 처방으로 약 60% 정도 완치치료 가능하다.)

 

증상의 악화와 완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날 경우 수술적인 치료 필요하다.

수술 순서: 국소마취--> 수술부위 2cm 절개--> 인대 제거 (수술시간은 5~10분 짧은 시간에 가능)

 

▶손목운동 예방법

-장시간 손의 사용을 줄인다

-손목을 구부린 자세를 피한다. (손목을 구부리게 되면 신경이 눌리게 되는 자세이기 때문에 손목의 과도한 굴곡은 피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손목 사용 시 손목을 충분히 스트레칭으로 풀어준다.

 

 

신경글라이딩 운동법. 손목스트레칭
손목스트레칭 운동 예방법: 출처-강동 경희대병원

 

728x90
반응형
반응형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과 자가진단법 VS 손목터널 증후군 예방 방법

 

*과중한 일과 컴퓨터 마우스등 직업병이라고 할 수 있는 손목터널 증후군에 대해 발병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과 예방방법까지 확실하게 알아보았다. 

 

★손의 구성: 14개의 손가락 뼈 5개의 손바닥뼈 8개의 손목뼈까지 하나의 손은 27개의 뼈로 이루어졌으며, 양손을 합치면 우리 손은 54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몸 전체를 구성하는 뼈 206개 중에서 4분의 1의 뼈가 이 작은 양손에 모여 있다.

손목터널증후군 손가락마디통증 손목통증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에는 관절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손목 가로 인대가 있고 그 아래로 터널 모양의 관이 지나는데 이를 손목 터널이라 한다. 이 터널 안으로 손가락을 굽히는 데 관여하는 힘줄과 정중 신경이 지나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터널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터널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눌리게 되면서 이로 인해 절임과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손목터널 증후군이라 한다. 정중 신경염 또는 수근관 증후군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반복적으로 컴퓨터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등 손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반복성 긴장성 손상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손목터널 증후군의 발병원인

손목터널 증후군의 정확한 발병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의해야 할 사실은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컴퓨 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무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일 하는 직업에서는 80%에 가까운 발병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성보다 는 여성의 발병률이 3배가량 더 높다고 한다. 그 이유는 여성의 손목굴이 남성보다 더 좁아 손목 사용량이 비슷하더라도 손목터널 증후군 통증을 더 자주 호소한다. 이런 손목터널 증후군의 발병요인은 크게 직업적, 의학적, 복합적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 

 

1. 직업적인 관점

 반복동작 작업 시 요구되는 과도한 힘, 부족 한 휴식, 손과 팔, 부적절하고 불편한 자세로 인한 부위에 작용하는 과도한 진동, 추운 작업환경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반복동작이란 여러 직업적 발병요인 중에서도 가장 많이 거론되는 요인으로 어떤 작업의 작업 주기의 동일 종류의 작업으로 진행될 경우 통상적으로 과도한 반복 작업이라고 규정한다. 과도한 힘을 주는 것도 주요 발병요인으로 손목이 중립 위치에서 꺾일 때 악력과 집는 힘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때 약 4~5배의 무리한 힘이 요구되어 손목을 손상시키게 하는 요인이다. 이러한 직업적 요인은 마우스, 키보드를 이용하여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무직에서 많이 발생하며, 최근 컴퓨터 사용자 증가로 직업병이라고 할 수 있는 손목터널 증후군 환자 역시 늘어나는 추세이다.

 

2. 의학적 관점

손목 근처의 관절염 및 골절로 인해 손목굴에 자극을 주게 되면 손목터널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몸에 수분량이 증가해서 작은 활동에도 힘줄이 붓기 쉬운 임신 중이라든지, 갑상선 질환으로 인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도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에 영향을 준다. 이런 의학적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환자가 많은 주 요인이며, 그 외에도 피임약의 복용과 같은 임상적인 요인으로 인해 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복합적 관점

우리의 팔은 손목과 팔꿈치 사이에 노뼈와 자뼈, 두 개의 뼈가 있는데 이러한 팔의 내부 구조는  손등이 위로 향할 때 팔은 관절과는 각을 이루어 뒤틀리게 된다. 이렇게 뼈가 뒤틀리면 손목굴의 공간이 좁아지고 혈액순환이 좋지 못해 피로감이 쌓이며, 집안일, 스마트폰, 운전, 마우스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사용할 시 반복적인 손목 사용으로 관절 손상이 발생한다.

손목구조와 신경
손목구조와 신경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

증상은 통증과 감각이상 및 운동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저리고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이상 감각을 호소한다. 통증 및 이상 감각의 성격은 불확실하고 모호한 경우도 있다. 1~2분 동안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고, 손목을 두드릴 때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수면 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서 잠에서 깨어난 후 손목을 터는 것과 같이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도 있다.

 

손목 부위에 꺾임이나 비틀어진 비정상적인 자세를 할 때 정중신경 주위의 힘줄과 손목뼈들에 의해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며, 이러한 압박이 장기간 반복될 때 정중신경 내의 미세 혈액순환을 막아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세가 발생된다고 알려 있다. 특징적인 증상은 손목 통증과 함께, 정중신경의 지배부위인 엄지, 검지,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밤에 심해지는 것이다. 더 심하게 되면 정중신경의 압박이 더욱 악화되고 저림 및 감각 저하를 넘어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게 돼서  엄지 쪽에 있는 근육 덩어리가 위축이 되어 살이 쏙 들어간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다. 이런 증상들을 보이면 이게 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일 수 있겠다고 이해하면 된다.

 

손의 힘이 약해지고 손목을 잘 못쓰는 것과 같은 운동마비 증세가 발생하기도 한다. 손가락 및 손바닥이 부은 것 같은 부종 감을 호소하나 일반적으로 실제적으로 부어있지는 않다. 찬물에 손을 넣거나 날씨가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 증상도 흔히 관찰된다.

 

●손가락 마디 통증 

- 손 및 손가락이 저림(엄지, 검지, 중지손가락)

- 자다가 손이 저려서 깨고, 손을 주물러줘야 한다.

- 손가락 주변에 붓기가 없는데도 부은 느낌 반복된다.

- 젓가락질이 힘들고 작은 물건을 손가락으로 잡기 힘들다.

- 손목을 굽혔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린감이 있다

- 잠잘 때 손이 타는 듯이 저린 통증을 느껴 숙면 방해한다.

 

■손목터널 증후군 자가  진단법  VS  손목터널 증후군 예방법

손목터널증후군 자가진단과 예방법
손목터널증후군 자가진단및 예방법
손목터널증후군 접었다폇다 예방운동
접었다 펴기 운동법

*손목터널 증후군은 과도한 손목의 사용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평소 사용할 때 틈틈이 스트레칭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 손목의 근육을 강화하고 긴장을 이완시켜 손목터널 증후군을 예방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