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

한방 사상. 팔상체질| 오미-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한방 사상. 팔상체질| 오미-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오미(五味) *동양의학에서 식물의 오미(五味)라는 자연적 특성과 인체의 오장과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신맛은 간으로 들어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들어가며 단맛은 비장으로 들어가고 매운맛은 폐로 들어가며 짠맛은 신장으로 들어간다.오미와 오장 간의 이런 관계는 동양의학에서 질병을 치료하는데 크게 활용을 하였다. 예를 들어, 쓴맛은 화를 내리는 작용이 있으며 심경으로 들어감으로 심화(마음속에서 북받쳐 나는 화)가 왕성하여 가슴에 번열(몸에 열이 몹시 나고 가슴속이 답답하여 괴로운 증상 )이 있고 불면증이 있으며 혓바늘이 돋거나 혀끝이 붉은 사람은 맛이 쓴 연자심이나 심화(心火)를 내리는 차를 마시면 열이 내린다. *함께 .. 2023. 1. 12.
[사계절-겨울보약] 겨울철 건강관리 기본원칙 꼭 알아야 해! ◈[사계절-겨울보약] 겨울철 건강관리 기본원칙 꼭 알아야 해! 목차 ▶겨울철 건강관리 1. 겨울철 약선 2. 겨울철의 자음양신의 약선 3. 겨울철 보하는 약선의 주의 사항 4. 겨울철에 좋은 약선식품 ▶겨울철 건강관리 겨울은 만물이 잠복하고 저장되는 계절이며, 상대적으로 활동이 적으며 많이 길고 낮이 짧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주로 풍한으로 인한 질병이 많으며 인체는 양기가 수장되고 기혈이 안으로 들어가며 피부가 치밀하고 수습이 체표로 나오지 못하고 신장과 방광의 기화작용에 의해 일부분의 진액이 전신으로 퍼져나가고 대부분의 수분은 방광에 모여 뇨액이 된다. 따라서 신장의 부담이 커지는 계절로 유뇨, 요실금, 신장염, 신우신염, 수종 등의 병이 많이 발생된다. 또한 저항력이 약해져 심, 위 폐동의 장.. 2023. 1. 11.
인삼, 수삼, 효능 및 부작용| 위.장에 좋은 수삼 대추차 만드는 법 ◈인삼, 수삼, 효능 및 부작용| 위. 장에 좋은 수삼 대추차 만드는 법 목차 인삼과 산삼 인삼의 분류 인삼의 효능 수삼 대추차 만드는 법 수삼 대추자 효능 인삼 부작용 ▶인삼과 산삼 영어로는 ginseng [ˈdʒɪnsɛŋ], 학명으로는 Panax ginseng으로 인삼(人蔘)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약용하는 뿌리가 꼭 사람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국 법령은 "오갈피나무과(科) 인삼 속(人蔘屬) 식물"로 정의한다(인삼산업법 제2조 제1호). 학명인 "Panax ginseng"기준으로 화석상의 기록은 백악기 초기 중국 남부지방에서 퇴직된 지층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이다. 1392년 고려시대에 인공재배에 성공한 이래 쭉 인공재배로도 잘 키운다. 깊은 산에서 자라는 자연산은 특별히.. 2023. 1. 5.
피부염] 아토피,알레르기 원인. 증상, 좋은 음식 식이요법! ◈피부염] 아토피, 알레르기 원인. 증상, 좋은 음식 식이요법!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비정상적인 반응 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현대에 매우 흔해진 질병으로 어린이의 10~15%가 아토피 피부염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75%가 1세 이전에 나타나고 90%의 어린이는 5년 내에 저절로 호전되며 5% 의 환자가 어른이 되어도 피주염이 만성적으로 지속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재발과 지속을 반복하는 마넝 피부 면역 질환이다. ▶원인 *유전, 1gE의 증가에 따른 면역학적 결핍, T림프구의 기능 결여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온도와 습도, 심한 운동과 땀, 섬유에 의한 피부자극, 음식물, 약물, 집먼지, 동물의 털, 자극성 화학물질, 정신적 스트레스 등 증상을 심하게 한다. *.. 2023. 1. 4.
식도질환] 연하곤란| 삼킴장애 | 하임리히법| 식사요법 자세! ◈식도질환] 연하곤란| 삼킴 장애 | 하임리히법| 식사요법 자세! ▶원인 및 증상 연하곤란은 외과적 수술이나 종양, 폐색 또는 암 등의 기계적 손상과 뇌졸중, 뇌종양, 두부손상, 신경계질환으로 인한 마비현상으로 발생한다. 그 밖에 노화에 의한 치아손실, 잘 맞지 않는 의치 착용, 타액감소, 인두와 식도의 연동운동 감소로 연하곤란이 나타나기도 한다.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상태로, 삼킴장애, 연하장애 라고도 한다. 삼킴장애, 연하장애는 음식물이 잘 넘어가지 않고 목이 메이거나 삼킨 것이 식도에서 명치까지 막히는 것 같은 느낌이 있으며, 음식물이 구강에서 식도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음식을 원활히 혹은 완전히 섭취할 수 없는 증상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물조차 삼킬 수 없는 동성 연하곤란과 고체는 .. 2023. 1. 3.
다시다 맛을 내는 다시마, 다시마 효능 11가지 및 부작용 ◈다시다 맛을 내는 다시마, 다시마 효능 11가지 및 부작용 *목차 -다시마에 대해 -다시마효능 -음식궁합 -다시마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다시마 해조류 > 다시마 칼로리 19kcal (100g) 제철 7월 15일 ~ 9월 30일 *성질은 맛은 짜고 찬 성질이며 독이 없다. 해조류인 다시마는 두께 2~3mm 정도의 두꺼운 잎을 가지고 있는 게 특징이며, 바위에 붙어 포자로 번식한다. 녹조류와 홍조류는 식물(원시색소체생물)이지만, 미역과 다시마가 속한 갈조류는 식물이 아니다. 아한대 연안에만 서식하며, 캄차카 반도, 사할린 섬, 홋카이도, 토호쿠 연안, 동해안 북부, 태평양 연안에 많이 서식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서는 대량양식으로 기장군, 완도군, 고흥군 다시마가 등록되어 있으며, 완도를 중심으로 .. 2023.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