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명절. 식혜(감주) 만드는 방법. 압력 밥솥 간단 식혜
*한국 전통 음료인 식혜(감주)에 대한 유래와 효능, 식혜 만드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전통 감미료인 식혜는 고대 한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식혜의 기원과 한국 문화에서의 중요성에 대한 몇 가지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역사적 배경: 식혜는 삼국시대(기원전 57년~서기 668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기는 한국의 문화적, 정치적 정체성이 시작된 시기라는 점에서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시기이다. 이 음료는 전통적으로 축하 행사, 종교의식 및 중요한 행사에서 섭취되었습니다.
*문화적 의의: 식혜는 독특한 맛과 건강상의 이점으로 잘 알려진 한국 요리와 문화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약용 음료로 섭취되다가 점차 남녀노소가 즐겨 마시는 대중적인 달콤한 음료로 발전했습니다.
*고려시대: 식혜의 생산과 향유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시대에는 명절이나 특별한 행사 때 식혜를 즐겼다. 이 시기의 음료의 인기와 소비는 한국에서의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반영합니다.
*제조방법: 식혜는 쌀을 발효시켜 만들어 단백질, 비타민B 등 영양분이 풍부한 음료입니다. 이 전통적인 제조 방법은 소화를 돕고 목에 수분을 공급하며 계절에 따라 체온을 조절하는 등 건강상의 이점에 기여합니다.
*한식과 잘 어울림: 식혜는 달콤하고 상큼한 맛으로 인해 전통 한국 요리, 특히 풍미가 있거나 매운 음식과 잘 어울립니다. 식혜를 마시면 입이 상쾌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고 믿어져 한식의 음료로 매력을 더해줍니다. 전반적으로 식혜의 기원과 진화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뿌리 깊은 의미를 반영하며 단순한 전통 음료 그 이상입니다.
▶식혜의 효능
1. 소화에 도움: 식혜는 소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통적으로 왕족에게 식후에 먹였던 음식입니다. 소화에 도움이 되는 것은 장을 촉진하는 식이섬유와 효소의 함량 때문입니다.
2. 영양가: 이 음료에는 니아신, 칼슘, 칼륨을 비롯한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전반적인 영양에 기여합니다.
3. 항산화 특성: 식혜에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체질 균형: 흥미롭게도 식혜는 신체 체질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냉성" 체질인 분들을 따뜻하게 해 줄 수 있고, "온성" 체질인 분들을 시원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5. 풍부한 효소: 이 음료에는 효소가 풍부하여 소화를 돕고 가스 통증을 완화하는 능력이 더욱 향상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유아에게 투여됩니다..
6. 수분 공급: 식혜는 신체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수분 공급도 제공합니다.
7. 스트레스 완화: 식혜에는 스트레스 완화 시키는 특성이 있다.
▶식혜 만드는 방법
*팁: ( 압력밥솥 20인용 기준--> 물이 4L 들어감--> 그리고 엿기름 500g 1 봉지 사면 끝)
*재료 엿기름 1봉지(500g) 밥 2공기(380g) 정수물 4~5리터 설탕 종이컵 2컵(300g) 소금 1/4스푼(2g) 고운망사자루 1개 생강 2쪽(5g) |
1. 엿기름을 망에 모두 넣어 둔다
2. 물 2~3리터에 엿기름 망을 넣어 물에 담가 엿기름이 나오도록 남은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세게 눌러서 짜낸다
3. 엿기름 물을 전분이 가라앉게 이삼십 분 그대로 둔다.
3. 맵쌀이나 찰밥 두 공기를 엿기름 물을 조금 부어서 밥알이 뭉치지 않게 떼어 놓는다.
4. 밥통 20인용에 밥 2 공기와 가라앉은 전분은 빼고 위에 뜬 물, 엿기름을 모두 부어 뚜껑을 닫고 보온으로 4~5시간 발효시킨다. (본인의 경우 4시간 반 충분)
5. 시간이 되어 뚜껑을 열었을 때 밥알이 위로 15개 이상 동동 떠 있으면 발효가 다 된 것
6. 밥솥을 꺼내어 큰 냄비나 들통에 담아 흰 설탕 2컵과 생강 한두 쪽을 넣고 소금밥숟가락으로 4/1 정도(당도를 올려줌. 취향 것 해도 그만이다) 넣고 팔팔 끓을 때 식혜 위에 거품은 국자로 걷어 낸드음 불을 중약으로 줄여서 10분 정도 끓인 후 가스불을 꺼주면 완성.
7. 뜨거운 식혜를 차갑게 식혀준 후 찻잔에 식혜를 담아 잣이나 대추 두 세알을 동동 띄워서 마신다.
*참고 *찹쌀 맵쌀 차이 : 찹쌀은 국물이 맛있지만 밥이 질기고 맵쌀은 국물맛이 덜하고 밥이 부드럽다. *엿기름 앙금을 뺄 때 물 양이 어느정도 있어야 잘 빠집니다. (따뜻한물 4리터 사용) *좋은 엿기름이 아니라면 농도를 진하게 하고, 설탕을 더 넣어주면 맛납니다. 밀 엿기름보다 보리 엿기름이 더 맛있습니다 |
'건강&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강 효능. 혈액 순환에 좋은 수제 생강 차 만들기 (0) | 2023.12.08 |
---|---|
아동 성인ADHD 증상 테스트. ADHD원인부터 치료 (0) | 2023.12.06 |
"뇌종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초기증상과 종류별 특징" (1) | 2023.11.06 |
"손가락 통증을 위한 자가 치료법: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 (0) | 2023.11.04 |
수제 바나나식초 만드는법. 다이어트 바나나식초 드레싱 셀러드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