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양오행2

계절에 따른 음양의 균형, 오장육부, 오행식품[목 화 토 금 수] ◈계절에 따른 음양의 균형, 오장육부, 오행 식품[목 화 토 금 수] *계절에 따른 음과 양의 상승과 하강에 대해 알아보고 오행에 맞는 식재료는 어떻게 좋은지 궁금증을 알아보았다. >>봄: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로 양기가 증가하고 몸의 기운 상승하는 시기이다. 단맛과 향기로운 맛을 늘리고 신맛은 줄인다. >>여름: 양기가 최고에 이르는 시기로 적당한 운동으로 양기 발산하는 것이 좋다. 상승한 양기로 인해 심장의 열이 더해질 수 있는 시기이다. 매운맛은 늘리고 쓴맛은 줄인다. >>가을: 만물이 결실을 맺는 시기로 몸의 양기를 수렴하는 시기이다. 지나친 양기 발산은 폐를 손상시킨다. 신맛은 늘리고 매운맛은 줄인다. >>겨울: 만물이 잠자는 시기로 몸의 기운을 많이 발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무리하면 신장의 손.. 2022. 12. 17.
[음식궁합]음식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거 아세요? ◈[음식궁합] 음식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거 아세요? *식재료에는 찬성질과 따뜻한 성질이 있다. 한국의 전통음식이 우리 몸의 음양을 조절하여 몸의 밸런스를 조절해준다. ▶음식의 음양오행 음양오행이란 동양의 고대 및 중세의 철학 사조의 하나로써, 이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모든 사물의 현상은 서로 대립되고 상반되는 속성을 가진 음陰과 양陽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전통적 음식 문화 속에는 음양오행 사상이 짙게 깔려 있다. 또한 이 두 종류의 기氣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우주의 기초를 이루는 다섯 가지 물질, 즉 목(木, 나무), 화(火, 불), 토(土, 흙), 금(金, 쇠), 수(水, 물)가 생기고, 그것들이 조화를 이루어 천지 만물이 생겨난다. ▶음양의 성질 음의 성질/ 명암, 물질, 정지, 기능이 .. 202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