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차 효능 9가지, 겨울에 좋은 생강차 만들기
▶생강
*생강(생강과) 생약명: 생강
*약성은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폐. 비장. 위 경에 작용한다.
*생강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은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진저롤과 쇼가올이 대표적이다
*여러해살이풀.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농가에서 재배하고 키 30~50cm 자란다. 뿌리줄기는 노란색 덩어리 모양이고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잎집이 된다. 꽃은 8~9월에 담황색으로 핀다. 뿌리줄기를 식용하고 약재로도 쓴다.
*생강 꽃은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한국에서는 (고려사)에 있는 생강에 대한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했으리라 추정하고, 고려시대 문헌인 (향약구급방)에는 약용 식물로 기록되어 있다.
▶생강의 효능
1. 장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에 대한 살균력을 발휘하여 장염이나 이질 등을 다스린다.
2. 생강은 오장으로 들어가 몸을 보한다. 두통과 기침 등을 다스리는데 효과가 좋다.라고 [명의 별록]에서 말한다.
3. 생강은 악혈을 없애고 속을 편하게 하며 냉기를 물리친다.라고 [본초습유]에서 말한다.
4. 한의학에서는 소화기를 따뜻하게 하고 구토를 멎게 하며, 생리통이나 하복부 통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
5. 몸을 따뜻하게 하고 습함을 없애는 약재여서 감기로 몸이 떨리고 묽은 가래가 나올 때 생강 껍질을 긁어 버리고 납작하게 썬 다음 푹 달여서 꿀을 타 마시면 좋다.
6. 동의보감에 '강다탕'이라하여 묵은 생강과 봄에 딴 차를 같은 양으로 달여 마시는 약, 생강은 양기를 돕고, 차는 음기를 돕기 때문에 더위 독, 술독, 음식독을 다 풀고 여러 이질에 사용된다.라고 효능을 설명하였다.
(수제 강다탕 만드는 방법: 생강을 먼저 30분 정도 약한 불에서 달인 후, 생강 달인 물에 차를 5분 정도 우려서 마신다. 초기 감기에 효과가 좋다.)
7. 생강에는 간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 주고 수분의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이뇨작용 성분이 있어 발한을 촉진하고 부종을 제거한다.
8. 소화가 되지 않아 위와 가슴이 불편할 때, 숙취제거에 도움을 준다. 신진대사 기능 촉진, 식욕 항진, 건위, 감기, 해열, 살균작용 등 약리작용이 뛰어나다.
9. 생강 한 톨에 마늘 한쪽을 함께 넣어 진하게 끓여 마시면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빨리 낫는다.
*함께 보면 더 좋은 글↓ 클릭
2022.11.20 - [건강&행복] - 칡[칡뿌리 칡즙 갈근]효능 총 정리, 만들어 먹는 방법, 부작용
▶생강차 만들기 3가지 방법
1. 생강차
*생강차 첫번째 방법
처방: 생강 한 가지를 구토에 쓸 수 있다. 10g의 즙을 내어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효능: 감기에 걸렸을 때 생강을 술에 담가 우려서 먹으면 좋다.
생강 8g, 진피 4g을 섞어 만든 '생강 진피탕'은 헛구역하며 손발이 찬 데 쓴다. 달여서 1~2번에 나누어 먹는다.
재료: 생강 3톨, 물 300ml
만들기: 강판에 곱게 간 생강을 찻잔에 1큰술 넣고 끓는 물을 부어 1~2분 동안 우려낸 다음 꿀을 넣어 마시면 된다.
(생강은 크고 속이 흰 것이 좋다.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썰어서 끓인 다음 꿀을 가미하여 차로 마신다. )
2. 생강 녹차
효능: 감기나 차가운 비를 맞아 나타나는 오한과 발열 증상과 복부의 냉통을 다스린다. 또 혈관의 경화를 예방. 치료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좋은 건강 차이다.
녹차는 푸른빛이 그대로 나도록 말린 부드러운 찻잎을 말하는데 혈관 질환에 좋은 차이다.
녹차는 제조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 홍차, 우롱차로 나뉜다. 어떤 차를 제조하든 차나무의 잎을 원료로 사용한다. 녹차 잎은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을 차 제조용으로 사용하며, 대개 5.7.8월의 3차례에 걸쳐 잎을 따는데 , 5월에 딴 것이 가장 좋다.
재료: 생강, 녹차 잎 각3g
만들기: 생강을 얇게 썰어 차 잎과 고루 섞어 매회 6g씩 수시로 달여서 마시면 된다.
3. 생강 대추차
*첫번째 방법
효능: 기침과 자양 강정에 뛰어난 생강 대추차, 생강보다 대추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는데 자양강장, 이뇨작용과 함께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겨울철에 목이 칼칼하고 감기 기운이 있을 때 마시면 매우 효과적이다. 몸이 차갑고 떨릴 때는 뜨겁게 끓여 마시면 된다.
재료: 대추 16개, 대추채 약간, 생강 20g, 물 800ml, 황설탕 4큰술
만들기: 대추는 그대로, 생강은 껍질을 벗겨 얇게 썰어서 함께 물에 넣어 끓이는데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오랫동안 달이면 된다(3분의 1 정도 줄어들었을 때까지). 건더기는 체로 걸러내고 물만 찻잔에 부어 황설탕이나 꿀을 넣어 녹인 후 대추채를 띄워 마신다.
*두번째 방법
1. 생강 100g을 얇게 저민 다음 대추는 10개 정도 준비해 물에 씨어 닦은 후 사이사이 칼집을 넣어 대추 맛이 빨리 우러나도록 한다.
2. 저민 생강과 칼집 넣은 대추를 냄비나 주전자에 넣고 물 6컵을 부은 다음 약한 불에 물이 4컵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끓인다.
3. 끓인 찻물을 잔에 따르고 꿀이나 설탕을 타서 단맛을 낸다. 대추로 꽃 모양을 내어 잣과 함께 띄워 마신다.
▶중요 Tip:생강을 넣을 때 열을 내리게 할 경우에는 껍질을 벗기지 말고 사용하고, 열을 돋우려면 껍질을 긁어 버리고 사용하도록 한다.
▶부작용
속에 열이 많은 사람은 더운 성분의 생강을 장복하는 것은 아주 위험하다.
*함께 보면 더 좋은 글↓ 클릭
'건강&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총정리] 안압측정. 폐쇄각. 개방각 녹내장. 부작용 (0) | 2022.12.21 |
---|---|
[백내장 원인과 증상, 예방] 수술 후 꼭 지켜야 할 주의 사항 (0) | 2022.12.20 |
계절에 따른 음양의 균형, 오장육부, 오행식품[목 화 토 금 수] (0) | 2022.12.17 |
[음식궁합]음식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거 아세요? (0) | 2022.12.16 |
[사상체질]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태양인 체질별 변비개선 방법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