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부과 사마귀 제거] 편평 사마귀, 바이러스 증상, 치료 총정리!

*바이러스의 원인으로 나타난 사마귀의 종류를 알아보고 원인과 증상을 분석하여 치료방법까지 모두 알아보았다.

 

▣사마귀

*영어로는 Wart, 한국말로는 '사마귀'라고 한다.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2, 7번에 의해 발생하며, 피부와 손과 발 나타나는 작고 오돌토돌한 일반적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피부병이다. 발생위치와 원인에 따라 전염되는 형태의 사마귀도 있다. 다른사람의 사마귀가 자신의 피부에 비비거나 상처가 닿게 되면 쉽게 전염되며 다른 종 간에는 전염이 되지 않는다.

 

 사마귀 원인과 증상

*사마귀의 종류에 따라 원인이 되는 유전자형이 최근에 밝혀지고 있으나, 사마귀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질환이다.

 

1. 보통 사마귀 

대부분 HPV 2, 4, 27, 29형이 원인이 된다. 가장 흔한 유형으로 거칠고 융기된 표면을 가진 다양한 크기의 구진이 얼굴, 입술, , 손등, 손톱 주위 등에 발생한다. 주로 5~20세 사이 발생하며 성인이 되면 발생 빈도가 낮아진다.

 

2. 편평 사마귀 (코드B07)

편평 사마귀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편평사마귀의 원인은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하며 바이러스가 증식을 해서 군집을 이루게 된다. 대부분 HPV 3, 10, 28, 49형에 의해 나타난다. 정상 피부보다 조금 돌출되어 있으며 2~4 mm 정도 크기로소 표면이 편평하고 납작한 작은 구진으로 나타난다. 편평사마귀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을 하므로 전염이 될 수 있다. 편평사마귀 병변을 손으로 긁거나, 편평사마귀가 있는 사람과 수건을 같이 쓰면 옮을 수가 있다. 그리고 편평사마귀 부위 주변으로 퍼지게 된다. 각각의 병변이 서로 융합하여 합쳐져서 나타나며, 어린이와 청년기에 흔하게 나타나는데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성인은 흡연, 음주에 의해서 발생한다. 얼굴,코, 입 주위, 이마, ,  손등에 잘 발생한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더욱 심하게 발생하거나, 재발을 자주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면역저하성 질환 환자, 에이즈 환자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사마귀바이러스

 

 

3. 손발바닥 사마귀

HPV 1형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에도 2, 4, 27, 29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발바닥 사마귀 자체는 몸무게에 눌려서 티눈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피부 표면으로 나왔을 때 구별하기가 어렵다. 티눈하고 달리 신발에 닿는 부위나 몸무게가 실리는 부위와 관계없이 사마귀가 생기는 경우가 흔하게 자주 나타난다. 여러개가 한 곳에 모여 있고 다른 곳에 옮기기도 한다. 티눈처럼 피부 속으로 파고들어서 걸을 때 통증을 일으킨다.

 

4. 음부 사마귀(뾰족 콘딜로마)

아주 흔하게 생기는 성인병으로 대게 성관계 후 2~3개월 뒤에 피부병변이 나타나는데 항문과 요도구 주위에 잘 발생한다. 처음 초기에는 윤기 나는 표면의 작은 구진으로 시작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닭 벼슬 모양으로 모여 구진이 나타난다. 여자의 경우에는 자궁 경부, 회음부, 외음부,  및 항문 등에 잘 나타나며, 남자의 경우에는 음경 포피로 덮여있는 고랑, 요도 입구 및 항문 주위부에 잘 나타난다. 한번의 성접촉으로 50%가 감영될 수 있는 매우 강한 전염력이 있다. 바이러스HPV 6, 11, 16, 18, 31, 33-35, 39 등이 있으며6, 11형은 성기 및 자궁경부암 발생과의 관련성이 적으며 나머지는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과의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 방법

*여러가지의 사마귀 치료법이 있는데 사마귀의 크기나 위치, 또는 숫자 등의 환자의 면역상태나 나이에 따라서 모두 다르다. 현재 이용되는 대부분의 사마귀 치료법은 완치율이 약 50~60% 정도이며 다시 재발 확률은 평균 20~50%이다. 사마귀는 미용상의 문제도 있지만 생활하면서 불편함을 느끼고 타인으로부터 감염을 막아 예방하는 차원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 전기 소작법: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이기는 하나, 흉터(반흔)이 잘 생기고 재발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시술후 물에 닿으면 안 되기 때문에 5일에서 일주일 정도는 관리에 불편함이 있다.
 
- 냉동 요법: 대게는 1~3주 간격으로 흔하게 사용되어 치료를 시행한다.  병변에 액화질소를 직접 접촉시키거나 분사한 후 해동이 될 때까지 천천히 방치하는 과정으로 여러번 반복하여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다. 냉동스프레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사마귀와 주위 정상조직 일부가 하얗게 될 때까지 여러 번 반복한다. 치료 기간에 물에 닿아도 괜찮은 편리함과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이라면 치료가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 레이저: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산화탄소 레이저는9와 11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파장으로 적외선을 발산한다.
 
- Dinitrochlorobenzene 감작: 일종의 면역 요법으로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을 하므로 병변이 다발성이거나 아주 클 때 사용한다.
 
- 5-Fluorouracil cream(5플루어애설 크림): 발바닥에 생기는 사마귀에 효과가 있으며 보통 사마귀에도 사용한다.
 
-  포도필린:   임산부에게는 이용할 수 없으며, 점막에 맞닿아 있는 병변 또한 사용할 수가 없다. 뾰족 콘딜로마나 표면의 각질 덩어리를 제거한 사마귀에 포도필린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 살리실산, 젖산의 혼합물, trichloroacetic acid: 발바닥 사마귀에 아주 효과적이며 병변이 많은 경우에 사용한다.

 

 

▣주의사항

- 흡연, 술 자극적인 짜고 매운 음식을 피한다.
- 스트레스나 피로감이 쌓이지 않도록 조절을 한다.

- 사마귀 부위를 손으로 자극을 주어 억지로 떼어내지 않는다. 더 커질 위험이 있다.
- 수건이나 옷은 따로 분리하여 사용한다.

- 스크럽이나 타올등으로 때를 미는 행동은 삼가한다.
- 바이러스로 인해 증식이 되므로 오래 방치하지 말고 신속하게 치료를 받는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클릭

2022.11.17 - [건강&행복] - 오십견 증상 3단계/ 오십견 치료 방법/오십견 치료 운동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