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계절-겨울보약] 겨울철 건강관리 기본원칙 꼭 알아야 해!

 

목차
▶겨울철 건강관리
1. 겨울철 약선
2. 겨울철의 자음양신의 약선
3. 겨울철 보하는 약선의 주의 사항
4. 겨울철에 좋은 약선식품

 

▶겨울철 건강관리

 

겨울은 만물이 잠복하고 저장되는 계절이며, 상대적으로 활동이 적으며 많이 길고 낮이 짧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주로 풍한으로 인한 질병이 많으며 인체는 양기가 수장되고 기혈이 안으로 들어가며 피부가 치밀하고 수습이 체표로 나오지 못하고 신장과 방광의 기화작용에 의해 일부분의 진액이 전신으로 퍼져나가고 대부분의 수분은 방광에 모여 뇨액이 된다.

 

따라서 신장의 부담이 커지는 계절로 유뇨, 요실금, 신장염, 신우신염, 수종 등의 병이 많이 발생된다. 또한 저항력이 약해져 심, 위 폐동의 장기기능이 약해지며 심근경색, 기관지염, 위통, 등의 병이 나타나고 감기, 기침, 관절염, 고혈압 등의 병도 가중된다.

 

겨울은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을 말하며 기후의 특징은 한랭하다. 그리고 겨울은 기후가 차서 열량을 쉽게 소모할 수 있는 점이 있다. 따라서 겨울에 다이어트를 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겨울철은 비타민 결핍이 일어나기 쉬운 계절이므로  식생활에 주의하여야 한다.

 

겨울철 건강관리

 

1. 겨울철 약선

(1) 겨울에는 짠맛을 적게 먹고 쓴맛을 많이 먹어야 한다.

겨울에는 신장의 경락이 왕성한 계절짠맛은 신장으로 들어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들어가는데, 오행상 수극화(水克)하므로 신장의 수가 심장의 화를 극한다. 만약 겨울철에 짠맛을 많이 먹으면 신장의 수기가 항진되어 심양(心陽)의 역량을 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쓴맛을 많이 먹어 신장의 수기가 항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노인들은 겨울철에 보해야 한다.

노인들은 인체 기능이 퇴화되고 저항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현상이 많이 나타나는데  추운겨울 보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한다는 것은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면역기능을 증가시키며 병후 회복을 촉진시키는 등을 말한다. 동양의학이론중 변증론치의 원칙에 의해 각자 신체상황을 고려하여 기허, 혈허, 음허, 양허에 따라 보하는 방법을 선택해야 효과적이다.

 

자연현상에 순응하여 겨울철에 보하는 방법은 양기를 키우면서 음을 보하며 원칙에 의해 약선 중에 성질이 열성이거나 온성인 식물을 많이 먹어야 한다. 특별히 노인들은 신장의 양기를 따뜻하게 보하는 방법이 좋은데 알맞은 식물로는 단백질과 비타민함량이 높고 소화가 쉬운 것이 좋다.

 

부추, 마늘, 향채, 황화채, 무 등의 채소와 쌀, 찹쌀, , 옥수수, 콩 등의 곡물과 양고기, 닭고기, 소고기 등의 육류와 연어, 갈치. 장어, 잉어, 매일 아침 인삼주나 황기주를 적은 잔에 한 잔씩 마시는 것도 혈액순환을 돕고 풍을 막으며 한기를 방어하는데 효과가 있다.

 

(3) 겨울철은 영양을 보증하고 열량을 지정하는 약선이 좋다.

인체의 생리활동은 열량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양의학에서 겨울에는 인체의 양기가 안으로 숨어들며 인체의 생리활동이 약 해지기 때문에 일정한 열량을 체내에 저장하여 다가오는 "춘생하장"을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겨울철에는 열량을 많이 소모함으로 충분한 열량을 섭취하여야 항병능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겨울철 약선은 자음잠양의 작용에 열량이 있는 식물이 좋다. 예를 들면 후추, 연근, 목이버섯. 등은 모두 유익한 식물이며 비타민 결핍을 방지하기 위해 신선한 채소도 섭취하여야 한다.

 

그 밖에 겨울철에는 끈적거리며 기름진 음식이나 생음식, 찬 음식은 좋지 않은데, 이는 모두 음에 속한 식물로 비위의 양기를 손상시킨다. 겨울철에 좋은 음식은 호도, 밤, 고구마, 무, 양고기, 거위, 오리, 호도이며인체의 양기를 따뜻하게 보하는 식물이 좋다.

 

약선식품

 

2. 겨울철의 자음양신(滋陰養腎)의 약선

 

*신장의 기운이 허약하면 양기가 허약하고 허리와 다리가 시고 약하며 질병에 잘 걸린다. 겨울에 신장기능이 정상이면 추운 기후에 잘 적응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신진대사가 잘 안 되어 질병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에 신장을  보하는데 주의를 해야 한다.

 

추위를 견디고 신장을 보 하는 방법으로는 약선이 가장 적합한데, 양고기는 신장을 따뜻하게 하면서 열량이 높아 체질이 허약한 사람에게 유익하다.

 

그 밖에 보신익신작용이 있는 식품으로는 용안육, 호도, 밤 등이 있으며 검은색식품이 신장으로 들어가며 신장을

강하게 하는 효능이 많은데 흑미, 검정깨, 검정콩, 검정대추, 미역, 다시마, 김 , 흑목이, 오골계 등이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클릭

2023.01.05 - [건강&행복] - 인삼, 수삼, 효능 및 부작용| 위.장에 좋은 수삼 대추차 만드는 법

 

3. 겨울철 보하는 약선의 주의 사항

 

(1) 겨울철 약선으로 비위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신체가 허약하고 비위소화능력이 떨어진 사람은 느끼하고 기름진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위와 같은 사람은 배가 더부룩하고 복통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으로 아무리 좋은 보약을 먹어도 그 효과가 별로 좋지 않다.

 

(2) 보를 할 때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어느 한 부분이 부족하다고 하여 그 부분으로 치우치게 보하면 한쪽이 너무 강 해져 음양 평형을 이루지 못해 도리어 병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이 허약 한 사람에게 양음(陰) 작용만을 위한 약선을 제공하면 음이 태과하여 양기를 손상시켜 음한 이 응결되어 음성양쇠의 현상이 나타난다.

 

기허자에게 보기작용만 강한 약선을 제공하면 기운이 융성되어 가슴과 복부에 장만한 현상이 나타나거나 기운의 승강작용실조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보 할 때는 항상 한쪽으로 너무 치우치지 않으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할 수 있는 약선을 원칙으로 한다.

 

(3) 맹목적으로 보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중년은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노년기의 사람은 비장과 신장을 동시에 보하는 것이 좋다. 신체가 건장한 사람은 보할 필요가 없으며 체질이 허약한 사람은 기허, 헐허,양허, 음허를 구별하여야 하며 기, , , 양 중 하나만 보하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

만약 한 가지가 부족하다고 하여 한 가지만 보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한 가지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따라서 여러 방면을 고려하여 보하는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4. 겨울철에 좋은 약선식품

▶음을 보하는 식품 - , 사탕수수, 야자, , 은이, 제비집, 두부, 두유, 보리, 귀리, 메밀, 검정콩, , 오리, 토끼, 돼지족발, 자라, 거북이, 계란 등
 
▶기를 보하는 식품 - , 땅콩, 대추, 여지, 연자, 백편두, 산마, 흑목이, , 닭고기, 해삼, 소고기, 비둘기고기, 당나귀고기, 미꾸라지, 붕어 등
 
▶혈을 보하는 식품. 용안육, 포도, 상심자, 당근, 시금치, 황두, 옥수수, 선지, 돼지껍질 등
▶겨울에 좋은 곡물류: 찹쌀, 고량미, 옥수수, 귀리, 감자, 고구마 등
 
▶ 겨울에 좋은 성질이 찬 식품: , 연자, 배추 등
▶겨울에 좋은 채소: 동과, 사과, 유채, 시금치, 팽이버섯, 배추,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연근, 교백, 죽순, 양배추, 고구마, 감자, 당근, 유채 등

▶ 겨울에 좋은 성질이 찬 식품: , 연자, 배추 등
▶겨울에 좋은 흑색식품: 흑미, 검정콩, 검정깨, 검정대추, 흑목이, , 다시마, 오골계, 흑염소
 
▶겨울철에 좋은 어육류: 소고기, 양고기, 돼지내장, 닭고기, 갈치, 전어, 붕어, , 병어, 연어, 참치, 새우, 선어, 홍합, 해삼
▶겨울에 좋은 약재류: 녹용, 아교, 황기, 대추, 검인, 윤무, 땅콩, 호도육, 흑개, 연자, 산약,편두, 산사, 용안육, 육종용, 엿당, 인삼, 두충, 생강, 계피, 상심자 등

 

*인체의 몸은 대 자연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