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내장 원인과 증상, 예방] 수술 후 꼭 지켜야 할 주의 사항

 

백내장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빛이 들어가지 못하여 시력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눈동자에 하얗게 백태가 껴서 뿌옇게 보이거나 잘 안 보이게 된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정도는 다양하게 있으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백내장 원인

*젊은 나이에도 백내장이 발생하는데 주로 담배와 술, 알코올, 영양결핍으로 인해 발병할 소지도 있다.
 
*나이가 점점 들어감에 땨라 노화현상으로 나타나는 노인성 백내장의 경우, 발병 초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하게 되어 근시가 나타나며 증상이 점점 더 진행될수록 파란색을 잘 보지 못하게 된다.

*눈 주위의 심한 외상으로 인한 부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은 백내장을 유발시킨다 라고 입증되었다.  
 *수정체의 단백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질되고 퇴화하며, 이러한 과정은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질병에 의해 가속화된다.

*텔레비전이나 핸드폰, 컴퓨터에 디지털 기기에 의해 과도하게 노출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눈의 피로를 증가시켜 눈의 노화를 앞당기는데, 최근 급격히 많이 증가하고 있다.


*과한 약물 복용으로 스테로이드를 점안 제재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 또한 백내장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기와 열에 의한 부상으로도 직접적인 단백질 응고가 발생하여 수정체가 변성되거나 희게 될 수 있다.

(전기적 부상을 겪은 0.7%에서 8.0%는 백내장이 생길 수 있다)

*백내장은 X-선과 같은 이온화 방사선과도 관련이 있다. 수정체 세포들의 추가적인 DNA 손상 또한 고려되어 왔다.

 

▶백내장 증상

 

*시력이 감소하고 노화가 진행되면서 올 수 있다.

*색 구별 능력이 저하되면 의심을 한다.

*동공의 백색 증상으로 혼탁한 상태라면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밤과 밝은 불빛에서의 눈부심 현상으로 눈이 시게 느낀다.

*통증이 없으나 점차 흐려지는 시력으로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처음 발생초기에 갑자기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인다. 날씨가 좋은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백내장 초기이다.

 

*불빛 주변에 무지개가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백내장은 일반적으로 천천히 진행이 되며 예방과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실명을 할 수도 있다.

*백내장이 심해지면 색깔 구별하기 힘들고 운전이나 책, 얼굴인식등에 곤란함을 느끼며 빛으로 인한 눈부심이 더욱 심해진다.

 

*물체가 비틀려 보이거나 여러 개로 보이는 착시 현상이 일어난다.

*백내장이 진행되면서 눈의 동공이 백색이 되거나 노란색으로 변한다.

*백내장을 방치하면 포도막염이나 안구 내 압력이 상승하여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실명에 이를 수도 있다.

 

 

눈 검사

 

▶백내장 예방

  • 선글라스를 사용하면 백내장의 위험을 막아주고 진행을 늦출 수도 있다.
  • 지아잔틴과 루테인은 백내장의 잠재적인 예방 효과가 있다.
  • 바른 식습관으로 비타민A, C, E 등등 눈에 좋은 식재료를 섭취한다.

 

▶백내장 치료

  • 백내장 유발 원인을 억제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 백내장 초기에는 치료제의 복용이나 점안액으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 그렇다고 없어지지는 않는다.
  • 백내장은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증상이 심해지면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바꾸어 주는 백내장 수술을 해야 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클릭

 

 

'항산화 면역력'에 우수한 색깔별 '파프리카 효능'

◈'항산화 면역력'에 우수한 색깔별 '파프리카 효능' * 비타민C 함량이 레몬의 2배, 토마토보다 약 5배, 파프리카에는 1개의 비타민C 함량이 성인 1일 필요한 양의 약 6.8배 이상이 들어 있다고 한다

2t.saraj1.com

 

▶수술 후 주의 사항

 

<환자는 보통 수술 당일날 수술을 하고 한두 시간 후에 집으로 귀가한다.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짧다.>

*인공수정체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심한 움직임이나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한다.

*눈에는 수술 당일 대부분 안대를 하며, 수술 후 3에서 일주일 정도는 눈에 물이 들어가면 절대 안 된다.
*수술 후 걸을 때 갑자기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조깅, 과한 운동은 금한다.

*운전을 하면 절대 안 된다.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안구 내에 투여한 약물로 인해 동공 반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눈 주위를 긁거나 누르는 등의 자극을 주지 말아야 한다.

*한 달 정도는 조심해서 움직이고 무리하거나 무거운 것을 절대 들지 말아야 한다.
*술 담배를 금지해야 한다. 이는 술과 담배는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