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장철 제철 굴, 굴 효능과 부작용, 음식궁합

 

영양 만점인 굴은  9~12월이 제철로 석굴, 석화, 어리 굴이라고도 불리며 돌이나 바위에 붙어사는 자연산 굴은 어리란 말로 어리다, 작다라는 뜻으로 유래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충남 천북과 서산, 경남은 충무,고성, 통영에서 많이 나고 우리나라에서 양식굴은 세계 1위라고 할 만큼 굴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굴은 생으로도 먹기도 하지만 익혀서 먹어도 맛과 영양이 풍부하여 '바다의 우유'라고 할 만큼 철분 함량이 높고, 칼슘, 아연, 비타민이 풍부하다. 미역과 함께 먹거나 레몬을 함께 섭취하면 몇 배로 효능이 뛰어나며 음식궁합도 잘 맞는다.

 

▶굴의 성분

칼륨
201 mg
 
칼슘
95 mg
 
철분
5.3 mg
 

156 mg
 
지질
2.2 g
 
콜레스테롤
50 mg
 
엽산
9.60
 
아연
13.2mg
 
레티놀
54.00
 
베타카로틴
11.00
 
나트륨
347.00mg
 
단백질
10.00g
 
비타민 A
56.00RE
 
비타민 B1
0.19mg
 
비타민 B2
0.28mg
 
비타민 B6
0.06mg
 
 
비타민 C
3.00mg
 
비타민 E
1.30mg
 
니아신
2.40mg
 
당질
8.30g
 
회분
2.20g
 
타우린
1130mg
탄수화물
4.95g
셀렌
91%

제철굴, 영양만점굴
굴 음식궁합

▶제철 굴의 효능(굴껍질 효능)

1. 굴은 혈액을 생성하여 혈액을 맑게 한다.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LDL콜레스테롤을 억제하여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고 뇌졸중, 동맥경화, 심장질환, 고혈압 등의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준다..

2. 굴은 피부미용에 효과가 좋다고 하는데, 이는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는 효능이 있어 피부조직과 탄력있는 피부로 만들어 준다. 항산화 성분은 피부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3. 굴의 당질은 글리코겐 성분으로 소화 흡수가 잘되어 노약자, 어린이, 환자에게 특히 좋은 식품이다.


4. 철분과 마그네슘으로 빈혈 회복, 예방에 좋으며,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 개선에 좋다.


5. 간장병 후의 체력 회복에 좋은 효과를 준다.

6. 신경을 안정시켜 주어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으며 한방에서는 땀을 흘리지 않게 한다.


7. 불면증과 뇌일혈에 좋다고 한다


8. 아연 성분이 풍부하여 남성의 호르몬 '테스토스테론'분비를 원활하게 한다. 
(카사노바의 정력 비결은 ''이라고 말할 정도로 좋다고 한다.)
9. 칼슘과 비타민D가 풍부하여 연골 관절이나 골다공중등 뼈관절이 좋지 않은 분들에게 특히 좋다.

10. 풍부한 칼슘, 아연, 철분, 마그네슘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어린이의 성장 발육에도 좋다.


11. EPA
의 함량으로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한다.


12. 아연은 당뇨 개선과 자양강장제 역할을 하고, DHT 호르몬 생성을 억제하여 탈모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13. 셀레늄 성분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예방한다.

14. 타우린과 글리코겐이이 성분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간해독작용을 도와준다. 
타우린의 성분은 체내 알코올 성분을 해독시켜주어 숙취해소에 좋다.


15. 굴을 생으로 먹으면 열을 내리고 갈증을 해소시켜준다.


16.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절하다.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지방 함량이 적고 칼슘이 풍부해 보충 역할을 한다.
*굴껍질의 효능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분노도 가라앉히고 초조, 불안, 짜증을 안정시킨다.
-신경통이나 두통이 생기면 가루내어서 달여 먹으면 좋은 효과가 좋다고 한다.
-굴껍질은 장질환및 간장효과에 좋다.

굴조개껍질은 건재약국에서 '모려'라는 약명으로 구입할 수 있다.

굴껍질을 깨끗이 씻은 후 12g을 물 300cc로 끓여서 물이 반으로 줄면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마신다.
진정작용을 목적으로 하면 굴껍질 그대로 쓰는게 좋다.

▶굴 음식궁합

-굴과 레몬을 함께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을 살균시키고,철분 흡수를 도와준다.

-굴은 부추와 궁합이 잘 맞는다. 굴의 찬성분과 부추의 따뜻한 성질이 만나 평하게 만들어 주어 소화흡수에 좋고 철분의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음식으로는 굴 젓, 무굴밥, 굴전, 굴국밥, 굴 미역국, 굴 배추 겉절이, 매생이굴국, 무굴무침 등 다양한 영양만점의 굴요리가 한식에 다양하다. 

제철굴

  ▶굴 섭취 시 부작용  

-5~8월엔 먹지 않는다. 특히 7~8월은 굴의 산란기로 독소가 나오기 때문에 특히 조심한다.
11월 ~ 1월까지가 굴 맛의 절정 기면서 영양가도 최고로 풍성하다.

-굴은 부패하기가 쉬워 신선하지 않은 굴을 생으로 먹으면 식중독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조심을 하는 게 좋다. 절대 먹지 않는 게 방법이다.

-당뇨, 간질환 증상, 암등 증상이 있다면 심각한 위험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생굴 섭취는 안 하는 게 좋고, 먹어서 구토나 설사, 속이 매스꺼우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신속하게 대처를 해야 한다.
-절대 냉동굴은 먹으면 안 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무와음식궁합 좋아요↓

 

[무병장수 비법] 김장철 '무의 효능'

◈ [무병장수 비법] 김장철 '무의 효능' ‘무’ 한국의 4대 채소 무에 대한 좋은 영양성분과 효능, 부작용과 고르는 법, 보관법 들을 깔끔하게 정리하였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무’ 10~ 12월이 제

wata8485.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