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콩효능1/ 검은콩 효능/함께 먹으면 좋은 음식 궁합/부작용

*한방식품으로 본 검은콩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두 번째로 살펴보았다. 

 

▶콩의 영양학적 특징
*두류는 콩과식물의 종자, 긴 콩깍지에 1~7개의 종자들이 들어 있다 
- 단백질(30~40%)과 지질(6~20%)이 풍부한 두류에는 대두, 서리태, 쥐눈이콩 등이 있다.
- 당질과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두류는 팔 녹두, 동부이다.

 

*생대두의 단백질-트립신 저해물질 및 혈액응고 물질인 헤마글루티닌 함유하고 있어 약간의 독성, 생단백질의 소화 흡수 장애가 온다. 그러나 가열에 의해 대부분 파괴가 되므로 익혀서 먹는다면 극소량으로 아무 이상이 없다.

 

*꼭 보면 좋은 글. 검은콩 효능 두번째 글↓ 클릭     

2022.11.13 - [건강&행복] - 콩효능2/ 검은콩 효능/함께 먹으면 좋은 음식 궁합/부작용

▶대두의 활용, 음식궁합

- 대두는 조직이 단단하여 조리 후에도 소화율이 70% 이하인 식품이므로 액체 상태로 만들어 두유나 콩국수 국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 두부로 가공하거나 떡의 고물, 미숫가루로 이용하기도 하고 생콩가루로 국수나 빵에 첨가하여 영양가를 보완하는데, 이때 가공으로 인하여 소화율이 높아진다.

- 소화흡수율을 알아보자 → 볶은콩 60%, 삶은 콩 70%, 콩가루 83%, 두부 95% 이며 두부로 먹는 것이 소화 흡수율이 제일 높다.
- 대두단백질-글리시닌. 염용성 → 대두를 물에 담글 때 소금을 약 1% 넣으면 콩을 연하게 삶을 수 있다.

 

검은콩, 서리태

▶대두의 영양학적 임상실험으로 보는 효능

☞대두에는 지질이 20%나 들어 있는데, 대부분이 지방산과 글리세린이 결합된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시틴과 극소량의 기타 성분도 함유되어 있다.

☞콩기름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에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대두에 들어 있는 황색 물질이 바로 이소플라본인데, 대두에는 3가지의 이소플라본 즉, 제니스틴, 다이제인, 글라이시틴이 당과 결합한 형태로 들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대신 대두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켄터키 주에 있는 메디칼 센터의 제임스 엔더슨 박사는 콩 단백질 식품과 콜레스테롤의 관계에 관한 연구보고서 38 건을 종합 분석한 결과, 대두 단백질 식품이 나쁜 콜레스테롤, 인, 저밀도, 지단백(LDL)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다.

⇒엔더스 박사는 동물 단백질 대신, 콩 단백질을 규칙적으로 많이 먹는 사람은 콜레스테롤이 평균 9% 가 낮아지며, 이들 콜레스테롤 중에서도 나쁜 LDL만이 감소 현상을 보였고 심장병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단백 (HDL)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검은콩


(4) 대두(콩)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두(콩)에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인 트립신의 저해제 와 적혈구 응집소로 '헤마글루틴'이라고도 불리는 단백질이 함유하였는데 이러한 항 영양성 물질은 열에 의해서 대부분 파괴되기 때문에 콩의 식용에 미치는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트립신 저해제의 경우
→두유를 만들 때는 약 80%, 두부를 만들 때는 90% 정도의 활성을 잃게 된다.

→두부와 두유에는 10% 내지 20%의 저해 활성이 남아 있지만, 실제로 이 정도의 잔류 활성은 단백질의 소화흡수 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생콩이 문제가 된다. 뿐만 아니라 열처리 후에도 잔존하는 저해제는 비교적 분자량이 적은 것으로 최근에는 항암작용을 한다. 
→ 트립신 저해제는 미국 FDA에 의해 대장암의 치료 시험약으로 지정 되었다.

 

▶한방식품으로서의 콩 효능

1. 대두의 맛은 단맛이고, 성질은 평하다.

2. 자양강장(强) 식품으로 건비, 관중, 윤조(潤煥), 이수 작용을 하며 풍열(風熱)의 사(邪)를 없애고, 활혈 (活), 해독의 효능이 있다.

3. 양(梁) 나라 시대의 「명의 별록(名醫別錄)」에서
"부종을 없애고, 위의 열비(熱)를 제거하고, 상중(傷 中), 임로(淋露), 어혈(血)을 내리게 하고 오장의 결정 내 한(結積內)을 풀어준다.”

*명나라 시대의 이시진은
“대두는 피부를 육성하고 안색을 좋게 한다. 골수(骨)를 충실하게 하며 기력을 강하게 하고 혀를 보충하며 식욕을 증진시킨다.”라고 썼으며 또 "신병을 치료한다. 이수, 하기(下氣) 하며 풍열을 고친다. 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라고 기술했다.

 

▶치료에 활용한 예


1. 감기의 예방 치료: 대두 한 줌, 알린 향채(香菜: 중국 파슬리) 3g(아니면 흰 파뿌리 3개), 무 3개를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해서 마신다.

2. 철 결핍성 빈혈: 대두와 돼지의 간을 100g씩 준비한다. 먼저 대두를 반숙 이상으로 삶아서 돼지의 간을 넣고 부드럽게 될 때까지 삶는다. 하루에 3회로 나누어서 먹는다. 3주가 계속한다. 

3. 수포 창 후의 궤양: 대두를 검게 될 때까지 볶아서 가루로 빻은 다음 참기름을 섞어서 환부에 바른다. 수포 창이 치료된 뒤 자주 대두를 먹으면 상처의 흔적과 색소의 침작이 줄어들고 피부가 매끄럽게 된다.

4. 설사: 대두의 껍질을 탈 정도로 볶아서 가루로 빻아 놓는다. 1일 2회, 한 번에 10g씩 끊여 마신다.

5. 사마귀 치료: 대두를 부드럽게 물에 삶는다. 하루 세끼 끓인 물과 대두만을 먹는다. 이것을 3일간 계속하는데 그러는 동안 다른 음식물과 기름기는 먹지 않는다. 4일째부터 보통 식사 요법으로 실험을 한 결과 네 가지 사례가 모두 고쳐졌으며 재발하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심신안정, 불면증 극복에 좋은 5가지 약차 효능

◈심신안정과 불면증 극복에 좋은 5가지 약차 효능 *불안하고 안정이 되지 않아 잠이 오지 않을 때 도움이 되는 5가지 약차를 소개해 보려 한다. 할로윈데이 이태원 참사로 인해 대한민국 전체가

wata8485.tistory.com

▶콩의 부작용↓

★콩에는 에스트로겐과 같은 화합물이 들어있어 너무 많이 섭취할 경우, 자궁암 위험이 커진다. 


★콩에 대한 권장 섭취량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하루에 2번 정도 보통 식사로 먹으면 안전하다.


★콩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철분 흡수를 방해해 빈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채식주의자들에게는 특히 위험하다.


★콩에는 트립신의 활동을 방해하는 특정한 단백질이 들어있어 콩을 날로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하지만 콩을 가열할 경우 이 단백질 성분이 변성된다. 결국 트립신이 활성화되어 소화효소의 침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