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알레르기란? 증상 진단 검사. 예방을 위한 대체 식품
*목차
▶식품알레르기란? ▶식품 알레르기 분류(식품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겐, 면역과 알레르기) ▶알레르기 일으키는 식품 ▶식품 알레르기 증상 질환 ▶식품 알레르기의 진단 ▶예방을 위한 제한 식품 VS 대체 식품
▶식품알레르기란?
*정상인은 식품항원에 대하여 면역학적 내성이 발달되어 특별한 과민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나 과민한 사람은 특정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에 대하여 면역학적 과민반응이 나타나는데 이를 '식품 알레르기'라고 한다.
식품 알레르기(食品 Allergie)는 꽃가루나 항생제의 알레르기와는 달리 특정 사람이 어떤 음식을 먹으면 장 혹은 몸이 병원균으로 인식하여 불편한 증세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위장관이 미숙한 영유아 또는 어린이에게서 자주 발생하는데, 전체인구의 0.3-0.7% 정도가 식품알레르기 발생빈도가 나타나고 있다. 그 빈도는 나이가 어릴수록 높아서 영유아에서는 8%까지 보고되고 있다. 식품에 대한 과민반응은 연령, 소화과정, 위 장관의 투과도, 항원의 구조, 유전적인 성향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증상은 일정하지 않으나 알레르기 반응은 거의 즉각적이며 여러 기관에 영향을 준다. 식품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하여 식사에서 과민반응을 심하게 유발하는 식품을 제거하고 그 식품과 대체할 수 있는 식품으로 바꾸도록 한다.
▶식품 알레르기 분류
1) 식품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면역적인 이유로 식품에 대해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레르기를 유발하기 쉬운 물질로 식품, 꽃가루, 진드기 등이 있다. 또한 알레르 기는 유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징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는 부모는 자신의 아이에 게 그 음식을 처음 먹일 때 유의해야 한다.
성인의 경우 식품 알레르기의 비율은 2% 에 불과하지만 영유아는 8~10% 정도로 높다. 영유아는 장 기능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여 알레르기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성장하면서 자연히 없어지는 수가 많다. 식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식품 알레르기 증상은 보통 식품 섭취 후 수분에서 수 시간 내에 나타난다. 흔히 위장관 증상과 피부증상이 나타나며 드물게 호흡기 증상이 보고되고 있다
2) 식품 알레르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을 알레르겐 allergen이라 한다. 식품 중에서 알레르기 반응 의 원인은 주로 단백질이나 당단백인 경우가 많다.
식품성분 중 당단백질이 이종항원 heterogenous으로 위장관 벽에 노출되면서 과민반응이 나타난다. 우유의 경우에는
카제 인과 Q-락트알부민, B-락트알부민, B-락토글로불린이 항원으로 작용하는 단백질에 속한다.
달걀의 경우 흰자에 함유된 단백질 중 알부민 albumin과 오보뮤코이드 ovomuco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성분이다.
P34라 불리는 대두의 단백질과 새우와 같은 갑각 류의 단백질도 항원으로 작용한다.
방부제와 착색제, 발색제, 감미료 등이 첨가된 식품이나 자극성이 강한 식품, 알코올, 카페인 음료, 흡연도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피자, 햄버거, 아이스크림, 초콜릿 및 과자류 등과 설탕이 들어간 음식 및 인스턴트식품에도 알레르기 유발 요인이 있다.
3) 면역과 알레르기
외부의 이물질인 항원이 생체 내로 들어오면 생체 내에서 이에 대항하는 항체가 만들어져서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반응에서 생체에 유리한 반웅을 면역이라 하며 불리한 반응을 과민증 또는 알레르기라 한다.
면역에는 항체생산에 의한 체액성 면역과 감각 림프구에 의한 세포성 면역 cordiated immunity이 있다. 이들 모두 림프구가 관여한다.
T 림프구는 면역계 조절과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데, 다른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 거나 직접 표적세포에 대한 세포손상의
원인이 되는 림포카인과 사이토카인 yekan을 생성하여 항원을 파괴한다.
B-림프구는 항체를 형성하여 체액성 면역을 담당한다.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betting이라고 불리는 y-글로불린으로 각각 G, M. A, D, E 등 5가지가 있으며 그 역할은 각기 다르다.
▶알레르기 일으키는 식품
-계란, 우유, 견과류, 땅콩, 밀, 콩류, 생선, 갑각류등 이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참깨를 알레르기 유발 식품에 9번째로 새롭게 포함시켰다.
현재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복숭아, 토마토, 우유, 메밀, 땅콩, 호두, 대두, 밀, 고등어, 꽃게, 새우, 돼지고기, 아황산류, 닭고기, 알류(가금류에 한함),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홍합, 굴, 전복 포함),
잣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가공식품에는 해당 사항을 표기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구 분 | 식물성 식품 | 동물성 식품 |
저 유발 식품 | 토마토, 연뿌리, 콩나물, 브로콜리, 당근, 양배추, 무, 파, 양파, 배추, 식물성기름, 마가린, 호박, 감자, 고구마, 사탕류, 쌀, 밀가루, 쌀, 보리, 면류, 빵류, | 양미리, 도미, 잉어, 붕어, 뱀장어, 흰살생선, 은어, 옥돔, 바닷장어, 닭고기, 야생조류 |
유발식품 중간 |
딸기, 감, 바나나, 죽순, 토란, 밤, 근대, 은행, 두릅, 머위, 버섯, 가지, 고춧가루, 쑥갓, 무즙, 우엉, 생강 | 소시지, 송어, 어묵, 낙지, 대구, 청어, 다랑어, 정어리, 고래고기, 말고기, 쇠고기 |
유발 정도 강한 식품 |
냉이, 피망, 카레, 밀, 아몬드, 땅콩, 콩, 메밀, 겨자, 고추, 완두 | 우유, 달걀흰자, 연어, 고등어, 꽁치, 오징어, 전갱이, 가다랑어, 새우, 가재, 게, 조개류, 돼지고기 |
*함께 보면 좋은 글 ↓ 클릭
[피부염] 아토피,알레르기 원인. 증상, 좋은 음식 식이요법!
▶식품 알레르기 증상 질환
- 심혈관계: 저혈압, 과민증 쇼크
- 호흡기: 인후부종, 재채기, 기침, 천식, 천명, 콧물, 코막힘 또는 호흡곤란
- 소화기: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경련, 가스, 위식도 역류증, 혈변, 소화불량
- 피부: 부종, 가려움증, 두드러기, 피부습진, 혈관부종, 아토피피부염
- 신경계: 우울, 초조, 과민반응, 피로, 두통
- 부종: 입술, 혀, 목 또는 신체 다른 부위의 붓기, 입술
- 기타: 식은땀, 혈압저하, 안면 창백, 의식혼미
▶식품 알레르기의 진단
1단계: 증상파악, 현재의 병력, 과거의 병력, 가족력, 이학적 소견
2단계: 호산구(말초 혈액, 콧물), IgE와 기타 면역글로불린 양, RAST(IgE, IgG), ELISA(각종 면역글로불린), 피부반응, 특이적 면역 복합체
3단계: 제거시험, 유발시험(경구, 직장), 식사일지
4단계: 제거 식사요법, 약물요법
▶예방을 위한 제한 식품 VS 대체 식품
원인 식품 | 제한 식품 | 대체 식품 |
계란 | 핫케잌, 커스터드, 크로켓, 돈가스, 푸딩, 마요네즈, 계란, 메추리알, 오리알 | 스파게티, 계란이 들어가지 않은 제과제품 |
우유 | 우유가 함유된 식품, 요구르트, 버터, 치즈, 아이스크림, 커피우유, 분유, 밀크코코아 | 두부, 두유, 칼슘과 비타민, 커피크림 |
대두 | 팥을 이용한 과자, 팥죽, 시리얼, 마가린, 피넛버터, 우스터소스, 데리야키소스, 콩, 팥, 완두, 당콩, 두부, 두유, 유부, 간장 | 우유, 견과류, 코코넛밀크 |
밀 | 스파게티, 간장, 국수, 소시지, 핫도그, 마카로니, 크래커, 튀김, 밀가루 제품 | 떡, 옥수수가루, 옥수수전분, 당면, 쌀전분, 쌀로 만든 빵 |
옥수수 | 팝콘, 콘시럽, 베이킹파우더, 옥수수빵 | 설탕, 메이플 시럽, 꿀, 소다 |
'건강&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력 저하| 자가면역 높이는 방법과 좋은식품 (0) | 2023.03.13 |
---|---|
봄에 하기 좋은 운동ㅣ바르게 걷는 법,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 (0) | 2023.03.09 |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자가 진단방법;손목통증 스트레칭 예방 법 (0) | 2023.02.02 |
[모과 총정리]모과 효능 및 부작용ㅣ 모과차 만들기 (0) | 2023.01.19 |
국민반찬 우엉효능 및 부작용! 건강 밑반찬 우엉 최고! (0) | 2023.01.18 |